추석 전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가시화되고 있는 지금, 이를 안내하는 것처럼 포장한 ‘사기 문자’가 퍼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경찰청은 21일 추석을 앞두고 관계부처 간 협업을 통해 스미싱, 보이스피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를 위해 예방 활동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이나 ‘긴급재난지원금이 도착했다’는 등의 문구를 앞세워 불명확한 인터넷 주소(URL)를 표기한 사기문자가 대표적이다.
또 출처가 불확실한 택배 조회, 명절 인사, 모바일 상품권 등 문자 메시지에 뒤따르는 인터넷 주소를 클릭할 경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스미싱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스미싱 문자에 담긴 링크를 절대 클릭하지 않고, 해당 전화번호를 ‘수신 차단’해야한다.

경찰청 등에 따르면 실제로 올해 들어 8월까지 스미싱 탐지 건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 378% 증가했다. 코로나19 관련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칭한 스미싱도 1만753건 발생했다.
과기정통부는 추석 연휴 기간 스미싱 문자를 24시간 감시하고 접수된 스미싱 정보를 분석해 악성앱 유포지를 차단하기로 했다.

온라인이슈팀 <제보 및 보도자료 editor@postshare.co.kr 저작권자(c) 포스트쉐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진 = MBC, KBS, 온라인 커뮤니티
- 실시간 국민은행 채용 공고 가장 충격적인 부분 (+카톡 추가)
- 김이나 이근 대위 ‘카톡 대화’ 욕 먹고 있는 이유 (+댓글 추가)
- ‘루이비통 며느리’ 나탈리아 보디아노바 과일 장사하며 겪었던 일 (+과거 행적)
- “30살에 죽겠다고 말하고 다닌 친구가 진짜 가버렸습니다”
- 실시간 ‘별똥별’ 목격담에서 가장 놀라운 부분 (+목격자 발언)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1
+1
+1
+1